2025/07/20 3

중고 스마트폰 수출시 제품 등급 분류 기준과 가격 산정법

중고 스마트폰을 수출하는 과정에서 가장 기본이자 핵심적인 절차는 제품 상태에 따른 등급 분류입니다. 수출입 바이어는 동일한 기종이라 하더라도 기기의 외관 상태, 기능 정상 여부, 배터리 성능, 부속품 포함 여부 등에 따라 전혀 다른 가격을 제시하기 때문에, 제품 등급이 명확히 구분되지 않으면 거래의 신뢰도를 떨어뜨리고, 분쟁이나 반품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해외 바이어들은 제품 사진과 테스트 리포트만으로 구매를 결정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등급 기준이 불명확하면 의사결정 자체가 어려워집니다. 글로벌 중고 스마트폰 시장에서는 대체로 A급, B급, C급, D급 등의 4단계 분류 체계를 사용하고 있으며, 일부 대형 수출업체는 자체 기준으로 A++, A+, A-, B+ 등의 세분화된 등급을 사용하기도..

중고 스마트폰 수출시 국가별 인증 요건 및 회피 전략

중고 스마트폰을 해외에 수출하려는 셀러라면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요소 중 하나는 수입국의 인증 요건입니다. 국가마다 전자제품에 대해 요구하는 인증 체계가 다르며, 일부 국가는 중고 제품이라 하더라도 신품과 동일한 안전성, 통신 적합성 인증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중고폰은 원래 제조사가 인증을 획득한 제품이라 할지라도, 상태나 배터리 수명이 달라졌기 때문에 별도의 규제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도는 BIS(Bureau of Indian Standards) 인증, 사우디아라비아는 SASO(Saudi Standards, Metrology and Quality Organization) 인증, 나이지리아는 SONCAP(Son Conformity Assessment Program), 유럽은..

중고 스마트폰 수출시 HS CODE 분류와 통관 서류 작성법

중고 스마트폰을 해외로 수출하려는 셀러라면 반드시 이해하고 있어야 할 기본 개념이 있습니다. 바로 HS CODE(HS코드, Harmonized System Code)입니다. HS코드는 전 세계적으로 통일된 품목분류 체계로, 수출입 품목을 6자리 이상의 숫자로 구분하여 세관이 통관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국제 규격입니다. 이 코드는 전자제품, 의류, 식품 등 거의 모든 물품에 적용되며, 각국의 세관과 무역 관련 기관이 동일하게 사용합니다. 중고 스마트폰의 경우, 기본적으로 HS CODE 8517.12 또는 8517.62가 주로 사용되며, 이는 ‘전화기, 무선통신기기, 셀룰러’ 등의 품목군에 속합니다. 그러나 동일한 스마트폰이라 하더라도 ‘신제품’, ‘중고제품’, ‘부품용’, ‘리퍼비시’ ..